수요의법칙이란,

해당 재화 이외의 기타요인들이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 어떤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느는 현상.

 

1. 수요이론(Demand Theory)

(1) 수요의 법칙

(2) 수요함수/ 그래프

(3) 수요의 탄력성

 

-어떤 재화의 가격이 올라가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감소하고

 그 재화의 가격이 내려가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증가한다.

P(x) & Q(x)^d

=>x의 가격과 x의 수요량은 역관계(반비례)이다.

 

-전제: 기타요인이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수요법칙 성립.

기타요인(I(소비자 소득), T(기호), P(s)(대체재 가격), P(c)(보완재 가격) ... ) :어떤 재화의 가격 말고 나머지를 뜻한다.

Ex)20년간 가격이 올라가도 수요가 늘어나는 것은 수요법칙 위배가 아니라 전제조건에 위배된다.

 

-예외:

(1)기펜재(기픈재)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내려갈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오히려 감소하는 재화. 가격이 올라갈 때는 그 재화의 수요량이 오히려 증가.

(2)매점현상(사재기현상) : 가격이 증가해도 생산량은 증가한다.

(3)전시효과/과시효과: 가격이 증가할 수록 생산량이 증가한다. (명품가방 등)

 

:P(x)가 내려가면 Q(x)^d도 내려간다.

기펜재의 조건은 열등재이면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커야한다.

*열등재: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는 감소하는 재화.

 

(사례연구)

라면:1000원/1개, 김밥:1000원/1개 -> 라면:500원/1개 (라면:열등재)

이 때의 가격효과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두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소득효과: 소비자의 실질소득 변화로 인한 수요(소비론의 변화)

:실질소득(명목소득)이 올라감에 따라 라면의 수요량은 감소한다. (열등재이기 때문)

 

-대체효과: 대체재와의 상대가격 변화로 인한 수요(소비)의 변화.

라면: 김밥 1:1 -> 0.5:1 : 라면의 상대가격 유리

                       (1 :2) : 김밥 하나 살 돈으로 라면 2개 살 수 있음. => 라면의 수요량 증가.

 

*소득효과 > 대체효과 : 라면의 수요량 감소 ... 기펜재

*소득효과 < 대체효과 : 라면의 수요량 증가 (열등재 이지만 수요법칙에 부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