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지산업협회는 올해 국내 기업의 2차전지 생산액은 전년 대비 32%가 증가한 30조7000억원을 나타낼것으로 봤다. 수출 또한 5.7% 증가해 7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1. LG화학(051910)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 사업 영위.

-첨단소재 사업부문에서 양극재, 자동차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밭아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 추진 중.

-전지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신설회사인 주식회사 LG에너지솔루션을 설립.

 

2. SK이노베이션(096770)

-SK(주)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주)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분할함으로써 설립됨.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배터리 사업 영위중이며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생산/판매 중

수요의법칙이란,

해당 재화 이외의 기타요인들이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 어떤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느는 현상.

 

1. 수요이론(Demand Theory)

(1) 수요의 법칙

(2) 수요함수/ 그래프

(3) 수요의 탄력성

 

-어떤 재화의 가격이 올라가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감소하고

 그 재화의 가격이 내려가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증가한다.

P(x) & Q(x)^d

=>x의 가격과 x의 수요량은 역관계(반비례)이다.

 

-전제: 기타요인이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수요법칙 성립.

기타요인(I(소비자 소득), T(기호), P(s)(대체재 가격), P(c)(보완재 가격) ... ) :어떤 재화의 가격 말고 나머지를 뜻한다.

Ex)20년간 가격이 올라가도 수요가 늘어나는 것은 수요법칙 위배가 아니라 전제조건에 위배된다.

 

-예외:

(1)기펜재(기픈재)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내려갈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오히려 감소하는 재화. 가격이 올라갈 때는 그 재화의 수요량이 오히려 증가.

(2)매점현상(사재기현상) : 가격이 증가해도 생산량은 증가한다.

(3)전시효과/과시효과: 가격이 증가할 수록 생산량이 증가한다. (명품가방 등)

 

:P(x)가 내려가면 Q(x)^d도 내려간다.

기펜재의 조건은 열등재이면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커야한다.

*열등재: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는 감소하는 재화.

 

(사례연구)

라면:1000원/1개, 김밥:1000원/1개 -> 라면:500원/1개 (라면:열등재)

이 때의 가격효과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두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소득효과: 소비자의 실질소득 변화로 인한 수요(소비론의 변화)

:실질소득(명목소득)이 올라감에 따라 라면의 수요량은 감소한다. (열등재이기 때문)

 

-대체효과: 대체재와의 상대가격 변화로 인한 수요(소비)의 변화.

라면: 김밥 1:1 -> 0.5:1 : 라면의 상대가격 유리

                       (1 :2) : 김밥 하나 살 돈으로 라면 2개 살 수 있음. => 라면의 수요량 증가.

 

*소득효과 > 대체효과 : 라면의 수요량 감소 ... 기펜재

*소득효과 < 대체효과 : 라면의 수요량 증가 (열등재 이지만 수요법칙에 부합)

[ quadruple witching day ]

12월10일 오늘은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개별 주식 선물과 옵션 등 네 가지 파생상품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다. 3 · 6 · 9 · 12월 둘째 목요일에 발생한다. 이날은 주가가 막판에 요동칠 때가 많아 "마녀(파생상품)가 심술을 부린다"는 뜻으로 "네 마녀의 날"이라 부른다.

 

비슷한 표현으로 세가지 옵션 만기일이 겹치는 세마녀의 날, 두가지 옵션 만기일이 겹치는 두마녀의 날도 존재한다.

 

-선물: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수, 인도하는 것.

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방식으로, 쉽게말하면 주식을 살때는 1주를 매수하면 바로 체결되어 가질 수 있지만, 선물은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매매를 한 후 미래의 일정시점에 인수,인도 받는 것.

 

-파생상품: 말그대로 파생되어 나온 상품이다.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일반적인 주식 예를들어 삼성전자 1주가 60000원이라고 쳤을 때 100% 다 잃으면 60000원의 손해만 나지만, 파생상품의 경우, 가치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기에 그 이상의 마이너스가 발생할 수 있다.

but, 선물과 파생상품 모두 High Risk High Return이므로, 주변 사람들 중 선물로 큰 돈을 벌었다는 얘기를 듣기도 하였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란?  (0) 2021.01.30
코덱스? 킨덱스? 레버리지? 헷갈리는 ETF에 대해 알아보자.  (0) 2021.01.28
레버리지/곱버스 매수방법 - 교육이수 필요  (0) 2021.01.28
2차전지 관련주  (0) 2021.01.20
주식용어(1)  (0) 2020.11.21

뉴스에 자주 나오는 사모펀드에 대해 알아보자.

사모펀드란 PEF(Private Equity Fund) 즉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자본시장법에서는 49인 이하의 투자자, 투자신탁엄법에서는 100인 이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운용하는 펀드로 정의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펀드라 함은 보통 증권사나 은행에서 다수의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공모펀드이다.

공모펀드의 투자 대상은 부동산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매우 다양하나 특히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상품이 많다. 이에 비해 PEF는 소수의 투자자의 돈을 모아 투자하는 펀드로, 투자 대상 또한 일반 공모펀드와 달리 부실기업의 지분을 사들여 구조조정을 진행하거나 지배구조를 바꾸는 방식으로 기업가치를 올려 되팔아 수익을 챙긴다.

 

사모펀드의 특징으로는,

개인간의 계약이므로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아 운용에 제한이 없다는 점과 주로 단기적 수익을 추구한다는 점, 펀드 운용의 성향이 공격적이라 위험률도 높으며 개인의 이익을 위해 악용되기도 한다는 점이 있다.

사모펀드의 종류로는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와 회사경영에 직접 참여하거나 경영/재무 자문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식인 경영참여형 사모펀드가 있다.

 

국내에서 PEF가 본격적으로 활동한 것은 1990년대 말 IMF외환위기 이후이다.

한때 잘나가던 한국 기업들이 외환위기로 부실해지자 외국의 유명 PEF들이 들어와 싼 값에 국내 기업을 산 뒤 되팔아 큰 이익을 가져갔다.

미국계 PEF인 칼라일은 외환위기 직후 한미은행을 사들여 몇 년 뒤 씨티은행에 되팔아 6600억 원의 차익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미국계 PEF인 뉴브리지 캐피탈 또한 2000년 제일은행을 사서 몇 년 뒤 스탠다드차터드은행에 되팔아 1조 원이 넘는 차익을 챙겼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에서 활동한 PEF는 모두 해외에 설립된 PEF였으며 국내에 PEF가 설립된 시점은 2004년이다.

 

사모펀드 사례

1. 론스타: IMF 외환위기 해소 막바지쯤에 있던 2003년 외환은행을 인수해 2012년에 매각하며 5조원의 차익을 실현.

2. 골드만삭스: 사모펀드의 일종인 헤지펀드에 속하며 그리스가 EU에 가입할 수 있도록 금융장부 조작 후 그리스의 재정위기 때 막대한 수익 챙김.

3. 블랙스톤: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 회사.

----------------------------------------------------------------------------------------------------------------------------------------------------------------------------------------------------------------------------------------------------------------------

1. KKR: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자금사정이 안좋아진 AB인베브에서 OB맥주를 인수해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해 영업개선으로 국내 맥주시장 1위를 달성한 후 KKR은 5년만에 400% 더 높은 값을 받고 AB인베브에 재매각.

 

2. 버거킹: 버거킹은 두산에서 운영하던 시절 해마다 떨어지는 수이고가 저조한 실적으로 망해가던 중 VG파트너스에 매각된 버거킹은 공격적인 할인 행사와 적극적 마케팅, 매장 확대를 통해 단 3년 만에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장 수 등 모든 지표에서 극적인 신장을 이룩해 기존 인수 가격의 2배나 되는 가격에 다른 펀드에 매각되었다.

 

3. 라임자산운용: 2012년 설립되어 투자자문사로 시작해 2015년 사모펀드로 업종을 전환하였고 투자자문사를 하며 쌓아두었던 고객 인맥을 통해 빠르게 자산을 불려 대한민국 최대의 사모 '헤지펀드' 회사로 성장.

헤지펀드란? 일반적인 사모펀드에 비해 단기간 운용을 하며 일반적인 사모펀드는 기업의 인수, 기업의가치상승 후 상장을 시켜 수익을 올리는 것에 비해 헤지펀드는 단순히 매매차익만을 보는경우가 많다.

 

라임사태란? 라임자산운용이 펀드의 부실을 숨긴채 증권사와 은행 등을 통해서 상품을 팔아서 환매가 중단 되었고,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안긴 사건.

 

사모펀드로 인해 득을 본 경우도, 피해를 본 경우도 존재하기에 사모펀드에 투자하기 전에는 펀드의 가치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다시는 라임사태와 같은 피해가 없기를 바란다.

 

 

 

1. 10단 호가 : 현황판 같은 것, 매수/매도의 수량을 보여준다. 예전에는 5단 호가였다.

2. 가격제한폭: 전일종가기준 상승하락을 제한한 범위

3. 가치투자: 차트를 우선시하기 보다 기업의 펀더멘탈에 투자하는 방식. 매출액/이익/성장성에 초점

4. 감자: 주식의 자본총액을 줄이는 것을 의미. 액면금액이나 주식 수를 죽이는 역할을 하는 것. 보통 악재로 받아들인다.

5. 강보합: 상승하락이 거의 없지만 양봉으로 끝났을 때

6. 갭: 호재나 악재로 인해 시가가 전일 종가보다 상승 / 하락으로 형성됐을때 발생. 캔들차트에서 중간에 공간이 비어있어서 Gap이라고 함. (갭상승 / 갭하락)

7. 거래량: 주식이 거래된 양. 매수시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여김

8. 거래정지: 다양한 이유로 인해 주식거래를 일정기간 못하게 하는 것(악재,호재,무상증자 등)

9. 경기민감주: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주식 (자동차, 철강, IT등) , 경기수혜주, 경기주도주, 경기관련주

10. 경기방어주: 경기가 좋아지건 나빠지건 일정 가격 수준을 유지하는 주식 (생필품, 에너지 등)

11. 계절주: 회사의 매출이나 수익이 계절에 따라 크게 변하는 기업의 주식을 의미(아이스크림, 선풍기 등)

12. 고가: 해당 거래일의 종목 최고 가격

13. 골든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는 현상. 주가 상승 신호로 해석

14. 공매도: 소유하지 않은 주식/채권을 파는 것. 한국증시에서는 외국인/기관만 가능. 차입/무차입으로 나뉨.

15. 공매도 과열종목: 공매도 거래가 급증했을 때 진정시키는 제도, 당일 거래 공매도 비중 20% 이상 등

16. 공시: 사업 내용이나 재무상항, 영업실적 등을 투자자에게 알리는 행위, 상시 확인해야함. (공시떴다)

17. 관리종목: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할 우려가 있는 종목을 말함. 최대한 투자 금지

18. 권리락: 직역하면 권리가 떨어졌다는 뜻. 권리락이 발생한 이후에는 배당/무상증자 등을 받을 권리가 사라짐.

19. 글래머주식: 우량주를 지칭하는 월스트리트 용어

20. 급등주: 단기간에 50%이상 수익률을 올리는 종목

21. 기간조정: 주가가 상승한 이후 일정기간동안 횡보 또는 약보합/강보합 되는 것을 의미

22. 기명주식: 특정한 주주의 성명이 주권면 및 주주명부에 기록되어 있는 주식

23. 기세: 매매계약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의 호가, 직전 시세에 비해 가장 낮은 매도호가 또는 가장 높은 매수호가

24. 기술적 반등: 큰 거래량 없이 기술적 분석에 의해 일정량 상승하는 것.

25. 기술적 분석: 큰 기업의 펀더멘탈(가치)보다는 주가의 흐름(차트)를 분석하는 것.

26. 기업공개(IPO): 거래소/코스닥에 상장 후, 일반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팔기 위한 행위

27. 낙폭과대주: 아무런 이유가 없거나 발생한 악재에 비해 주가의 하락폭이 클 때를 말함.

28. 내부자거래: 기업 내부의 거물이 직위로 인해 얻은 내부정보를 이용해 부당 이익을 취하는 것. (제일 나쁨)

29. 내수관련주: 수출 비중이 적고 주로 국내시장에 의존해 영업을 영위하는 회사의 주식을 말하는 것 (건설, 전기, 금융, 음식료, 제약업종이 대표)

30. 뇌동매매: 확실한 전략없이 순간 판단에 대응하는 매매 방법. 군중심리에 휘둘림. (주로 종토게시판을 보고 이루어짐)

 

(1) if문

if a < b : 

    print('Hello World!')  #if문은 탭키와 함께 써야 인식.

 

if True:

    조건식

else:

    조건식

 

*elif => else if 결합. 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 다른 경우를 검사.

(2) 조건식

== , <= , >= , < , >

 

 

*powershell에서 python실행 후 종료하려면 Ctrl + z 또는 quit()

 

 

 

 

 

 

 

flutter너란아이 시작하기 참 힘들구나...

flutter설치를 마무리한 후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려고 누르면 Unable to locate ADB만 계속 뜨고, run도 안되고 ㅎㅎㅎ

구글링 열심히 해본 결과, 뭐 sdk platform-tools를 지웠다 깔라고 해서 그거도 여러번 해보고 해도 안되는건 똑같음..ㅎ

 

결국 방법을 알아냈다!! 그것은 바로 유트브!! 어떤 외국인분이 올린 유투브인데 이거 보고 따라했더니 해결.

 

www.youtube.com/watch?v=19ESTnrmYJY

유투브..정말 개발자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였다,, 영상속 썸네일 같은 오류가 나온다면 당장 저 영상대로 해보세요.

 

 

성공 후 Flutter 데모앱 실행까지 완료! 이제 내일부터는 본격적으로 flutter학습을 시작할 수 있겠다ㅎㅎㅎ

오늘의 삽질 끝! 이 글을 보는 사람은 부디 나처럼 삽질하지 말기를....

https://flutter.dev/docs/get-started/install/windows#install-android-studio

 

Windows install

How to install on Windows.

flutter.dev

위 사이트에 들어간 뒤 아래 그림 순서대로 눌러서 자신이 원하는 곳에 플러터를 설치해준다.

필자는 C드라이브에 압축을 풀어주었다. 그 후 bin파일 클릭해 환경변수 변경하기.

1. bin파일 클릭해 경로를 복사해준다.

 

 

2. 내PC 우클릭 -> 속성 클릭 ->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

 

 

3. 환경변수 클릭후 위의 번호대로 수행해주고, 아까 복사한 bin파일 경로를 환경변수편집 -> 새로만들기에 넣어준다.

 

4. 그 후 cmd에 가서 flutter를 쳐서 잘 깔렸는지 확인

위 사진처럼 flutter 입력시 명령어를 인식한다면 flutter 설치 성공!!!

 

필자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flutter를 이용할것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plugin설치까지 하기로.

 

Configure -> Plugins 클릭

Browse repositories 클릭 -> flutter 입력 -> Install 클릭 -> Accept클릭 -> Yes 클릭

Restart Android Studio 클릭 -> 체크되어있는 그대로 OK 클릭 -> Restart 클릭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재실행되면 이렇게 Start a new Flutter project라는 메뉴가 생성됩니다.

 

잘 깔렸는지 확인하기 위해 cmd에 flutter doctor 입력.

----------------------------------------------------------------------------------------------------------------------------------------------------------------------------------------------------------------------------------------------------------------------

but, Android license status unknown이라는 에러 발생;;;; 

결국 안드로이드 버전 최신버전인 4.0으로 새로 설치하고 sdk manager가서 업데이트도 완료했지만 여전히 똑같은 에러 발생.

=> 구글링 해본 결과 java버전을 8로 바꾸면 가능하다고해서 내 java는 10이길래 이전 버전 지우고 java8 설치함.

 

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javase-jdk8-downloads.html

위 링크에서 난 windows 64bit라 맞춰서 설치 후 이전 버전 jdk들 다 제거해줌.

!를 해결하기 위해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입력 후 계속 y눌러준다.

마지막 connected device는 안드로이드 폰을 컴퓨터에 연결해주면 완료.

 

드디어 Flutter 설치 끝!!

'Programming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adb오류 _ Unable to locate ADB 해결방법  (0) 2020.09.26
준비과정_1 Flutter 강의 수강  (0) 2020.09.25

+ Recent posts